본문 바로가기

세계 여행/'17 뉴질랜드

뉴질랜드 마오리 족 전사들의 의식, '하카(Haka)'에 대하여

반응형

원래는 지난 게시물인 '타마키 마오리 빌리지(Tamaki Maori Village)' 관련 글에서 '하카(Haka)'에 대해 적어 내려가다가 너무 길어져서 삭제했다. 그런데 제법 오랜 시간 동안 공들여 쓴 글이라 완전히 삭제하기는 또 뭐해서, 그래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보기로 했다.


일단, 유튜브에서 '하카(Haka)'를 검색했을 때 조회수가 가장 많은 영상을 보자. 2017년 3월 13일 현재, 약 1천 3백 76만 건을 기록 중이다. 신기한 건 마오리족 뿐 아니라, 백인들도 하카를 함께 한다는 것.



뉴질랜드 럭비팀 '올블랙스(All Blacks)'가 2011년 럭비 세계선수권 결승에서 했던 하카



원래 마오리 족은 눈만 뜨면 주변 부족과 싸울 정도로 호전적이었다고 한다. 싸움에서 진 부족은 이긴 부족의 노예가 되는 게 일반적이나, 족장이나 전사, 혹은 주술사처럼 특별한 힘이 있는 사람들은 승자에 의해 잡혀 먹혔다고 한다. 왜냐하면 마오리 족은 힘이 센 사람을 잡아먹으면 그 사람의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부족 간에 싸움을 한 두 번 하더라도 사상자가 날 수 밖에 없는데, 거의 매일 같이 싸움을 하니 부족 내 피로도가 올라갔을 뿐만 아니라, 굉장히 불안정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게다가 전투를 하고나면 두 부족 중 한 부족은 잡아먹혀 씨가 마르기까지 하니, 인구는 정체되거나 줄어들고, 이에 사냥이나 농사를 지을 사람이 부족해지는 악순환이 계속 되었던 것.


이에 마오리 족은 여러 부족장들의 동의 하에 전투 방법을 바꾼다. 서로 죽이는 전투 대신에 일종의 기싸움으로. 그래서 마오리족 전사들은 살인 기술을 익힘과 동시에 하카를 하기 시작했다. 하카를 통해 부족 전사들의 용맹함과 힘, 기량 등을 상대에게 어필하면서 위협했던 것. 그리고 나서 어느 한 쪽이 '아, 질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면 군대를 돌리고, 그 즉시 전투가 끝났다고 한다. 이전의 전투가 서로 죽고 죽이는 살육전이었다면, 이 하카가 도입된 이후의 전투는 서로 전투 대형으로 마주 본 상태에서 서로의 전투력을 과시하는 모양새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하카로 인해, 승자는 피를 보지 않고 명예를 얻을 수 있었고, 패자는 살육과 식인이 없어 부족을 존속할 수 있었다. 물론, 서로 하카를 하고 나서도 어느 한 쪽이 물러서지 않으면, 살육전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한편, 하카는 전투 외에도 중요한 손님을 맞이하거나, 부족 내 경조사(장례식 등), 혹은 신의 은총을 비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했고, 현재까지도 그러하다.


아래 영상은 백인 남자와 마오리 족 여성의 결혼식인데, 사람들이 하카를 하면서 결혼을 축하해주는 영상이다. 마오리 족 신부가 감동받아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담겨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후반에 신랑과 신부 모두 하카를 함께 하는 모습도 같이.





현재의 하카는 이런 식으로 잘 계승되고 있는 것 같다. 뿐만 아니라, 앞서 본 올 블랙스의 영상처럼, 뉴질랜드 스포츠 팀은 국제경기를 할 때, 하카를 하는 전통이 있다. 이는 마오리 족으로만 구성된 축구팀이 1888년에 경기 전에 하카를 했던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덕분에 마오리 족의 전통인 하카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확실하진 않지만, 뉴질랜드의 학교 일부에서는 하카를 교육하고 있는 것 같다. 유튜브에 찾아보면 교복을 입은 남학생들이 떼로 모여 하카를 추는 영상이 제법 많기 때문이다. 특히, 아래 영상은 뉴질랜드에 있는 '북파머스턴 남자 고등학교(PNBHS)'에서 한 선생님의 장례 행렬에 전교생이 운구차 앞에서 하카를 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는 선생님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자, 애도의 의미를 담은 파워풀한 의식이기도 하다.



북파머스턴 남자 고등학교의 한 선생님의 장례 행렬에

하카로 존경을 표하고 고인을 애도하는 학생들



끝으로 하카는 춤처럼 보이지만 춤이 아니라 일종의 의식이다. 그래서 '하카를 춘다' 혹은 'Dancing Haka'는 잘못된 표현이다. 하카를 한다 혹은 'Doing Haka'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